주민등록 사실조사, 세대주·세대원·동거인 신고 어떻게 하나요?

주민등록 사실조사 시즌이 다가오면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는 것이 바로 “세대원도 직접 신고할 수 있을까?” “동거인은 어떻게 처리되지?” 같은 문제입니다.
특히 요즘 같이 바쁜 일상 속에서는 비대면으로 쉽고 빠르게 신고하는 방법을 선호하죠.

2025년 주민등록 사실조사에 세대주, 세대원, 동거인 신고에 방법을 정리해봤습니다.


✅ 비대면 주민등록 사실조사 참여

먼저, 2025년 주민등록 사실조사는 7월 21일부터 11월 26일까지 진행되며,
비대면 참여 기간은 7월 21일 ~ 8월 31일입니다.

📱 바로가기: 정부24 앱에서 비대면 신고

  1. 정부24 앱 실행

  2. “주민등록 사실조사 참여” 메뉴 선택

  3. 세대주 본인 인증 후 세대 전체 확인

  4. 사실과 다른 세대원이 있을 경우 수정 요청 가능

※ 세대주가 아니더라도, 공동 인증서(구 공인인증서) 등으로 본인 확인 후
세대원 또는 동거인 정보 확인 가능 여부가 앱 내에서 결정됩니다.

🔗 관련 포스팅 추천


👪 세대주, 세대원, 동거인 구분은 어떻게?

구분설명신고 가능 여부
세대주주민등록상 주 거주자 대표✅ 직접 신고 가능
세대원세대주와 함께 거주 등록된 가족✅ 대부분 비대면 가능
동거인가족은 아니지만 주소지상 함께 거주 등록된 자⚠️ 일부 경우 비대면 제한

동거인으로 등록된 경우에는, 관할 행정복지센터에서 확인 요청이 들어올 수 있으며,
비대면 신고가 제한될 수 있으니 9월부터 진행되는 방문조사에 응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신고 안 하면 어떻게 되나요? (과태료 주의)

주민등록상 주소와 실제 거주지가 불일치하거나, 허위 전입/무단 전출 시엔
최대 5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 사실조사 기간 내 자진신고를 하면 과태료가 감면됩니다.
정부24 앱에서 비대면 참여로 미리 처리하는 게 가장 현명한 선택이에요.


🔍 이런 분들은 방문조사 대상입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는 비대면 참여와 관계없이 직접 방문 조사 대상이 됩니다.

  • 5년 이상 거주불명자

  • 100세 이상 고령자

  • 사망 의심자

  •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취약계층

  • 장기 결석/미취학 아동이 있는 세대

이 경우, 9월 1일~10월 23일 사이 읍·면·동 직원이 직접 방문하여 조사하게 됩니다.


📌 지금 확인하고 신고하세요! 

지금 바로 정부24 앱에 접속하셔서 본인 및 세대 구성원 정보 확인해보세요.
조그만 관심이 과태료를 피하고, 정확한 행정 복지를 받는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

🔗 관련 포스팅 추천

🔗 조회수 많은 글

민생회복지원금 카드사별 지급 신청 잔액조회 방법 
민생회복지원금 주요소,병원,학원,프랜차이즈 사용처 조회
소상공인 3대 지원사업 7월 자영업자 지원금 신청 방법
이재명 디지털 굿즈 배경화면 다운로드 방법 총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