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금거래소 시세차트로 14K·18K 매입가 정확히 계산하기 (+ 1돈 가격 공식)

실시간 국제금시세 확인

2025년 들어 백금/금 시세가 크게 흔들리면서 거래소 시세 vs. 실제 매입가 차이로 당황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도 처음 18K 반지를 팔 때 “시세대로면 더 받아야 하는데?” 싶은데 세공비·수수료·감가로 체감가가 확 떨어져 충격을 받았죠.
그 이후로 저는 백금거래소 시세차트 + g당 시세 → 14K/18K 순도 반영 → 1돈(3.75g) 환산 → 매입수수료 반영까지 체크해 손실을 줄이고 있습니다.
아래 정리대로만 따라 하면 매입 전 예상가를 꽤 정확히 잡을 수 있어요.


2) 실시간 국제금시세 조회

  • 일간 차트: “오늘 팔까?” 단기 타이밍 판단

  • 주간 차트: 최근 변동성/추세 확인

  • 월·연간 차트: 중장기 평균가격대 확인 → 저점/고점 구분

  • 체크포인트: 환율, 자동차 촉매제(백금 수요), 광산 공급 이슈

팁: 단기 급등 직후 바로 매도하면 매입처가 리스크를 반영해 보수적으로 책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능하면 이틀 정도 추세 지속 확인 후 결정.


3) ‘1돈 자동 계산기(14K/18K/24K)’ 

기본 정의

  • 1돈 = 3.75g

  • 14K = 58.5% (0.585)

  • 18K = 75.0% (0.750)

  • 24K = 99.9% (0.999, 실무에선 1로 간주)

1) 순수 금(또는 백금) 기준가

  • g당 시세 = 거래소 표기가(원/g)

2) K값 반영한 이론가

  • 이론가(원/g) = g당 시세 × 순도(14K 0.585 / 18K 0.750)

3) 1돈 이론가

  • 1돈 이론가 = 이론가(원/g) × 3.75

4) 실제 매입가(세공비·수수료 반영)

  • 매입처 공제율(대략 8~20%) 가정

  • 실매입가(1돈) = 1돈 이론가 × (1 – 공제율)

예시(가상)

  • g당 시세 100,000원일 때

    • 14K 1돈 이론가 = 100,000 × 0.585 × 3.75 = 219,375원

    • 18K 1돈 이론가 = 100,000 × 0.750 × 3.75 = 281,250원

    • 공제 12% 적용 시

      • 14K 실매입가 ≈ 192, , , (219,375 × 0.88 = 192, , **) → 약 192, 천원

      • 18K 실매입가 ≈ 247, , **) → 약 247, 천원

실무 팁: 18K가 14K보다 감가율이 낮게 잡히는 경향이 있어, 보유 중이라면 18K 매각이 상대적으로 유리할 때가 많습니다.
다만, 디자인 세공·도금·보석 유무에 따라 공제폭은 달라집니다.


4) 매입가가 시세보다 10~20% 낮아지는 진짜 이유

  • 세공비/도금/보석 분리비: 순금/순백금 환산 과정에서 제외

  • 정제·유통 비용: 재가공·정련 리스크 반영

  • 가맹점 수수료/마진: 지점·채널별로 상이

  • 유행·디자인 감가: 공임 많이 든 반지라도 금속 무게 외 가치는 거의 반영 X

체크리스트(팔기 전)
☐ 제품 실중량(g) 재확인 → 도금/보석 무게 제외
K값(각인) 확인 → 14K/18K 혼합 주의
매입처 공제율(%) 미리 문의 → 카톡 견적 받아 비교
당일 시세 기준시간 확인 → 개장 직후/마감 직전 가격차

👉 매입처 3곳 비교견적 받기 [광고 위치]


5) 백금 vs 금|투자 전략 

  • 금(24K 중심): 안전자산 성격, 장기 보유에 유리

  • 백금: 산업 수요 민감, 단기 변동성 크지만 기회도 큼

  • 권장 전략(예시)

    • 안정형: 금 70% / 백금 30%

    • 중립형: 금 60% / 백금 40%

    • 공격형: 금 50% / 백금 50% (단, 분할 매수/매도 필수)


6) 초보자용 바로 쓰는 매각 루틴

  1. 실시간 시세 확인(거래소/앱)

  2. 상품 K값·중량 측정(각인·전자저울)

  3. 이론가 계산(위 공식) → 감가율 시뮬레이션(8~20%)

  4. 매입처 3곳 이상 카톡 견적

  5. 가장 높은 순수익 제시곳 선택(왕복교통·시간비용 고려)


7) 자주 묻는 질문(FAQ)

Q1. 백금은 금보다 싸면 무조건 이득인가요?
A. 아닙니다. 백금은 산업 수요/공급 영향이 커서 하락 구간에 진입하면 더 많이 빠질 수 있어요. 차트 추세 + 환율을 같이 보세요.

Q2. 14K vs 18K, 어떤 게 덜 손해인가요?
A. 일반적으로 18K가 감가폭이 낮은 편이라 1돈 기준 실매입가가 유리한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매입처 정책이 다르니 견적 비교가 최우선.

Q3. 보석 붙은 반지는 더 받나요?
A. 대부분 금속 무게 외 가치는 반영되지 않음. 보석은 따로 파는 게 유리할 때가 많습니다.

Q4. 매입처 공제율은 보통 얼마인가요?
A. 8~20% 범위가 흔합니다. 브랜드/지역/채널에 따라 달라서 사전 문의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