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제개편 국민청원 대주주양도세
혹시 8월 첫날, 주식 앱을 켜보고 깜짝 놀라지 않으셨나요? 코스피는 무려 -3.88%, 코스닥은 -4.03%나 폭락했습니다. 점심 식사 후 커피 한 잔 들고 여유롭게 앱을 켰던 많은 분들이 "이게 무슨 일이야?"라며 눈을 비볐을 겁니다. 매도 알림이 쉴 새 없이 터졌고, 투자자 커뮤니티는 그야말로 아수라장이었습니다.
이 모든 혼란의 원인은 전날 정부가 발표한 ‘대주주 양도세 기준’ 변경안 때문이었습니다.
📌 지금 해야 할 일
🔗 국민청원 참여하기
💸 급락? 이유를 알면 투자가 바뀝니다!
원래 주식 종목당 50억 원 이상을 보유한 사람만 대주주로 보고 양도소득세를 부과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정부가 이 기준을 다시 10억 원 이상으로 낮추겠다고 발표한 겁니다. 갑자기 "그럼 나도 대주주냐?"는 볼멘소리가 터져 나왔죠.
양도소득세는 주식을 팔아 이익이 생기면 내는 세금인데, 최고 33%까지 붙습니다. 문제는 단순히 '많이 벌어서 내는 세금'이 아니라는 겁니다. 주식을 팔아 이익을 얻지 못했더라도, 보유량이 10억 원을 넘으면 과세 대상이 될 수 있다는 뜻입니다.
특히 장기 투자하는 사람들은 "내가 오래 가지고 있던 게 죄냐?"며 분통을 터뜨릴 수밖에 없습니다. 정부는 세수 확보와 공평한 과세라고 말하지만, 과연 누구를 위한 정책인지 의문이 듭니다.
🗳️ 정부가 숨긴 주식 시장의 진짜 불편한 진실은?
"미국 주식엔 세금 없는데, 왜 국장에선 이래야 하죠?"
이런 세제 개편안 발표 직후, '대주주 양도소득세 하향 반대' 국민청원이 올라왔습니다. 하루 만에 4만 1천 명 이상이 동의하며 뜨거운 반발을 보여줬죠. 청원의 핵심 내용은 이렇습니다.
"국내 주식 오래 들고 있던 내가 잘못인가요?"
"미국 주식은 세금 없는데, 국내 주식은 왜 이래야 하죠?"
"차라리 엔비디아(해외 주식)에 몰빵하는 게 낫겠어요."
이런 불만은 단순히 세금 문제가 아닙니다. 국내 투자자들이 해외 주식으로 눈을 돌리는 이유가 단순히 '수익률' 때문만은 아니라는 점을 보여줍니다. 세금 제도가 불리하게 느껴지면, 굳이 국내 시장을 고집할 이유가 사라지는 겁니다.
더욱이 이번 정책을 주도한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의 **"저는 사실 주식 투자를 안 해봐서..."**라는 발언은 투자자들의 불신에 불을 지폈습니다. "경험도 없는 사람이 왜 세법을 바꾸느냐"는 비난이 쏟아졌고, "코스피 5000을 목표로 한다면서 왜 하루 만에 3000선 붕괴 위기를 만들었냐"는 목소리도 높았습니다.
📢 내 주식이 '세금 폭탄' 맞게 되는 의외의 기준
정부는 이번 양도세 기준 변경으로 5년간 약 35.6조 원의 세금을 더 걷을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과연 그 때문에 시장에서 빠져나갈 수조 원의 자금과 위축될 투자 심리는 계산에 넣었을까요?
몇 년 간격으로 세법이 뒤집히면 투자자들은 "또 바뀌겠지"라는 불신만 갖게 됩니다. 예측하기 어려운 시장에서는 장기 투자가 아닌, 단기 매매와 분산 투기 전략만 남게 되죠.
결국 이는 시장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법인 계좌나 해외로 자금을 분산하는 '진짜 큰손'들이 아닌, 세금을 낼 준비가 되어 있던 중산층 투자자들만 세금과 변동성에 떠밀려 나가게 만듭니다. 국민청원에 담긴 분노의 본질이 바로 이것 아닐까요?
진성준 의원님이 말씀하시는 '정상화'와 우리 국민이 느끼는 '정상성'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주식 투자는 예측하기 어렵지만, 정책만큼은 예측 가능했으면 좋겠습니다. 이것이 바로 시장과 정부가 신뢰를 주고받는 최소한의 예의 아닐까요?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1편] 국민청원 참여 바로가기
➤ [2편] 대주주 기준 10억 적용, 문제점 총정리
➤ [3편] 투자자 분노의 진짜 이유 분석
➤ [4편] 대주주 피하는 법과 회피 전략
➤ [5편] 정권 바뀌면 또 바뀐다? 투자자 생존 전략
🚨 지금 바로 청원에 동의해주세요!
이번 대주주 양도세 기준 변경안은 단순히 세금 문제가 아닙니다. 국내 주식 시장의 미래와 수많은 개미 투자자들의 투자 방향에 엄청난 영향을 미 미칠 중요한 사안입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의견이 변화를 만듭니다. 지금 바로 국민청원에 동의하여 더 많은 사람들에게 이 문제의 심각성을 알려주세요!
🔗 조회수 많은 글